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야구 방어율(자책점) 계산법

 

야구 방어율(자책점) 계산법

 

프로야구에서 투수 방어율 계산방법 아시나요?

야구를 많이 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초보자들의 경우 방어율 계산법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이번 시간에 투수의 방어율(자책점) 계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방어율이란?

 

방어율이란 투수가 한게임(9이닝)을 기준으로 점수를 몇 점 줬는가를 계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방어율은 투수의 역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방어율이 낮을수록 좋은 투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방어율에서 사용되는 자책점이란?

 

투수의 방어율 계산할 때는 실점이 아니라 자책점으로 계산합니다.

그럼 실점과 자책점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실점

실점은 투수가 나와서 총 몇 점을 줬는지를 말합니다. 수비수의 실책, 홈런, 안타로 인한 점수 모두 포함됩니다.

 

자책점

자책점은 수비수의 실책으로 인해 점수를 준 것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또한 해당 투수가 진루시키지 않은 주자에 의해서 나온 점수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3. 방어율 계산법

 

방어율(ERA) = (총 자책점×9) ÷ 등판 이닝수

 

) 류현진 선수가 7이닝동안 2자책점을 기록 했다면 (2×9) ÷ 7 = 2.57, 따라서 류현진 선수의 해당 경기 방어율은 2.57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