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규정타석, 규정이닝 계산방법 알아봅시다.
최근 국내 프로야구에 9구단 NC와 10구단 KT가 창단했습니다.
그래서 2015년부터 팀당 경기수도 144경기로 늘었습니다.
또한 2015년부터 규정타석수, 규정이닝수도 바뀌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규정타석과 규정이닝 계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규정타석
규정타석은 소속팀이 치른 경기 수의 3.1배입니다. (소수점 이하는 버립니다.)
(예를 들면, 2015년에는 144경기를 치루었습니다. 따라서 2015년 규정타석은 144×3.1=446.4 ⇒ 소수점이하는 버려서 규정타석은 446타석이 됩니다.)
※ 규정타석 이상 들어간 타자들만이 공식적인 타율이 인정됩니다.
규정이닝
규정이닝은 소속팀 경기수의 1.0배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2015년에는 144경기를 치루었습니다. 따라서 2015년 규정이닝은 144×1=144이닝이 되겠습니다.)
※ 규정이닝 이상 던진 투수만이 공식적인 자책점이 인정됩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구 피치아웃 뜻 (0) | 2016.02.15 |
---|---|
야구 타율계산법 (0) | 2016.02.14 |
야구 방어율(자책점) 계산법 (0) | 2016.02.04 |
야구 런다운(협살), 태그아웃 뜻 (0) | 2016.02.04 |
야구 끝내기 안타, 끝내기 홈런, 끝내기 밀어내기, 끝내기 실책, 끝내기 폭투 뜻 (0) | 2016.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