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야구 규정타석, 규정이닝 계산방법 알아봅시다. 야구 규정타석, 규정이닝 계산방법 알아봅시다. 최근 국내 프로야구에 9구단 NC와 10구단 KT가 창단했습니다. 그래서 2015년부터 팀당 경기수도 144경기로 늘었습니다. 또한 2015년부터 규정타석수, 규정이닝수도 바뀌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규정타석과 규정이닝 계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규정타석 규정타석은 소속팀이 치른 경기 수의 3.1배입니다. (소수점 이하는 버립니다.) (예를 들면, 2015년에는 144경기를 치루었습니다. 따라서 2015년 규정타석은 144×3.1=446.4 ⇒ 소수점이하는 버려서 규정타석은 446타석이 됩니다.) ※ 규정타석 이상 들어간 타자들만이 공식적인 타율이 인정됩니다. 규정이닝 규정이닝은 소속팀 경기수의 1.0배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2015년에는 14.. 더보기
야구 방어율(자책점) 계산법 야구 방어율(자책점) 계산법 프로야구에서 투수 방어율 계산방법 아시나요? 야구를 많이 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초보자들의 경우 방어율 계산법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이번 시간에 투수의 방어율(자책점) 계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방어율이란? 방어율이란 투수가 한게임(9이닝)을 기준으로 점수를 몇 점 줬는가를 계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방어율은 투수의 역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방어율이 낮을수록 좋은 투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방어율에서 사용되는 자책점이란? 투수의 방어율 계산할 때는 실점이 아니라 자책점으로 계산합니다. 그럼 실점과 자책점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실점 실점은 투수가 나와서 총 몇 점을 줬는지를 말합니다. 수비수의 실책, 홈런, 안타로 인한 점수 모두.. 더보기
야구 런다운(협살), 태그아웃 뜻 야구 런다운(협살), 태그아웃 뜻 야구 초보 완벽 탈출!! 야구보면서 주자가 견제구에 걸려 1루와 2루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하는 장면 보셨을 겁니다. 이 상황에서 “런다운”, “태그아웃”이라는 용어가 나온답니다. 이번 시간에 알아보겠습니다. 태그아웃 베이스에서 주자가 몸이 떨어져 있을 때, 수비수가 공을 들고 있는 손으로 주자의 몸의 터치하면 그 주자는 아웃이 됩니다. 만약에 공을 들고 있는 않은 손으로 주자의 몸을 터치한다면? 태그아웃은 성립되지 않는답니다. 런다운(협살) 런다운(RunDown)은 주자가 견제구에 걸리거나 상대편 수비 상황에 걸려 베이스와 베이스 중간에서 이쪽도 저쪽도 갈 수 없는 상황을 말합니다. 런다운 상황에서 수비수는 계속 공을 주고받으며 주자를 몰아 주자를 태그아웃 시킬 수 있습.. 더보기
야구 끝내기 안타, 끝내기 홈런, 끝내기 밀어내기, 끝내기 실책, 끝내기 폭투 뜻 야구 끝내기 안타, 끝내기 홈런, 끝내기 밀어내기, 끝내기 실책, 끝내기 폭투 뜻 야구 초보 완벽 탈출!! 끝내기 안타, 끝내기 홈런 자주 들어 보셨을 겁니다. 말 그대로 마지막에 승리로 이끈 안타/홈런이라는 것인데요.. 이번시간에는 끝내기 승리가 되는 야구용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끝내기 안타 9회말이나 연장회 말에 팀을 승리로 이끄는 결승타점이 되는 안타를 말합니다. 끝내기 안타가 되면 팀은 승리하고 동시에 경기는 끝나게 됩니다. 끝내기 홈런 9회말이나 연장회 말에 팀을 승리로 이끄는 결승타점이 되는 홈런을 말합니다. 끝내기 스퀴즈 번트 말 그대로 스퀴즈 번트로 팀이 이기는 결승점을 얻는 것을 말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프로야구사에서는 21번의 끝내기 스퀴즈 번트가 성공하였다고 합니다^^ 끝내기 폭투 .. 더보기
야구 희생번트(보내기번트), 스퀴즈번트 뜻 야구 희생번트(보내기번트), 스퀴즈번트 뜻 야구 초보 완벽 탈출!! 희생번트, 스퀴즈번트 구분할 수 있나요? 헷갈리시면 이번 시간에 확실히 알아보자구요^^ 희생번트 (보내기번트) 노아웃이나 원아웃에서 1루나 2루에 주자가 있을 경우 주자를 한 베이스 더 보내기 위해 취하는 번트입니다. 타자 자신은 아웃되고 주자는 한 베이스 더 진루할 수 있습니다. 희생번트를 대면 다음 타자가 안타 하나만 쳐도 점수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웃카운트 하나가 추가되므로 소극적인 야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희생번트는 희생타에 속하므로 타율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예) 무사 1루에 박해민 선수가 진루해 있습니다. 타자 구자욱선수가 희생번트를 대면 구자국 자신은 아웃, 박해민 선수는 2루로 진루하게 됩니다... 더보기
야구 견제구, 견제사, 주루사 뜻 야구 견제구, 견제사, 주루사 뜻 야구 초보 완벽 탈출!! 야구를 보면 1루에 있는 주자는 도루하려고 하고, 투수는 도루를 저지하려고 1루로 공을 던지는 동작이 자주보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견제구, 견제사가 용어가 등장합니다. 오늘은 견제구, 견제사, 주루사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견제구 야구에서 루상에 주자가 있을 때, 투수가 그 베이스에 던져 도루방지 또는 아웃시킬 수 있는 행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1루 주자에 한화 이용규 선수가 있습니다. 이용규 선수는 발이 빠른 만큼 도루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도루하지 못하게 투수가 1루로 견제구를 던지는 것이지요.) 견제사 투수나 포수의 견제구에 의해서 루상에 있던 주자가 아웃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투수의 견제구에 주자가 아웃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더보기
야구 낫아웃 뜻은? 야구 낫아웃 뜻은? 야구 초보 완벽 탈출!! 야구 보면서 “낫아웃”이라는 용어 자주 등장합니다~ 그럼 이번 시간에 확실히 알아보겠습니다^^ “아웃(out)” 과 “낫아웃(not out)” 차이는?? “아웃”은 말 그래도 아웃(out), “낫아웃(not out)”은 말 그대로 아웃이 아니란 뜻입니다. 낫아웃 (not out) 정식 용어는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이라고 합니다. 투수가 던진 세 번째 스트라이크를 포수가 받지 못하고 공이 흐르면 삼진아웃이 아니라 "낫아웃" 상황이 됩니다. “낫아웃”되면 타자는 1루 베이스까지 주루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단, 노아웃, 원아웃에서는 1루에 주자가 없어야 합니다. 투아웃의 경우에는 주자 유무에 관계없이 낫아웃 상태가 됩니다. 낫아웃이 되면 투수 삼진 기록은 어떻게.. 더보기
야구 세이브 조건 알아봅시다 야구 세이브 조건 알아봅시다 마무리 투수가 “세이브”를 기록하려면 조건은?? 세이브 조건은 약간 까다롭더군요.. 이번 시간에 확실히 알아보겠습니다. 1. 세이브란? 세이브(save)란 자기 팀이 경기를 이기고 있을 때 올라온 마무리투수가 경기 리드를 지켰을 때 주는 기록입니다. 2. 세이브 조건 ① 자기 팀이 3점 이하의 리드일 때 등판해서 1회 이상 던져서 리드를 지켰을 때 세이브 기록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세이브 조건입니다. 예를 들면, 점수 4:1 상황에 9회에 등판하여 승리를 지키면 "세이브" 됩니다. 상대팀이 4:3까지 따라와도 승리만 하면 “세이브” 기록됩니다. ② 루상의 주자나 상대하는 타자 또는 그 다음 타자가 득점하면 동점이 되는 상황에 등판하여 리드를 지켰을 때 세이브가 기록됩니다. 루.. 더보기